전체 글80 아파트 공급이 부족하다는데 사실일까? 요즘 들어갈 집이 없다고 하는 뉴스들을 보셨을까요? 서울만 봐도 아파트가 이렇게나 많은데 왜 들어갈 집이 없다고 하는 걸까요? 데이터로 알아보겠습니다. 주택 통계 알아보는 방법 3가지 1. 국토교통부 통계누리 국토교통부 사이트 → 하단에 통계누리 클릭 → 제공현황 통계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한국주택협회 한국주택협회 → 정보마당 → 주택통계정보에서 확인 가능해요. 3. KOSIS 국가통계포털 KOSIS → 상단의 국내통계 → 주제별 통계 → 주거 또는 건설 클릭. 주택공급의 선행지표 : 착공실적, 건설수주액, 인허가실적 위 사이트들을 참고해서 데이터를 비교해보도록하겠습니다. 먼저, 착공 물량부터 확인해 볼게요.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23년 4월 누계 신축 아파트 착공 물량이 43%가량 떨어졌.. 2023. 6. 25. 부동산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 : 원가법 부동산 원가법이라고 들어보셨을까요? 전문적 용어라서 부동산에 관심이 없으신 분들은 잘 모르실 듯한데, 이번 글에서는 원가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부동산 원가법은 부동산의 가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개념으로, 이 방법은 부동산의 구성 요소에 대한 비용과 시장 조건을 고려하여 부동산의 현재 가치를 산정하는 데 필요합니다. 현재 가치를 구해서 이 가격이 비싼지, 저렴한지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죠.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원가법은 누가, 언제, 어디에 사용하는 걸까? 부동산 원가법은 주로 부동산 투자, 개발 및 평가에 사용됩니다. 1) 부동산 투자 평가: 부동산 투자자들은 원가법을 사용하여 투자 대상 부동산의 현재 가치를 산정하고 투자 수익을 예측합니다. 부동산의 구성 요소인 .. 2023. 6. 24. 아파트 분양가가 계속해서 오르는 이유는? 최근 들어 평당 분양가가 많이 올라 서울에 평당 분양가 3000만 원 아래가 드물다는 뉴스가 많이 보이고 있죠. (정순우 기자님 뉴스 참고) 공사비가 많이 증가해서 분양가가 증가했기 때문인데요. 공사비가 증가하면 분양가가 오르는 것은 누구나 아는 이유지만, 조금 더 세부적으로 알아보도록 할게요. 분양가 얼마나 상승했을까? 2023년 5월 공고된 서울 서대문구 가재울뉴타운 'DMC가재울아이파크' 분양가는 전용면적 59㎡ 기준 7억 7030만 원~8억 8280만 원입니다. 평당가 3426만 원 정도로, 2017년에 분양된 가재울 에코자이의 분양가는 전용면적 59㎡ 기준 5억 1500만 원으로 평당가 2070만 원입니다. 분양가가 65%가량 상승하였습니다. DMC가재울아이파크 래미안루센티아 가재울 에코자이 분.. 2023. 6. 22. 부동산 투자의 핵심, 가능총소득(PGI) 알아보기 부동산 투자는 많은 사람들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로 간주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동산 투자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 중 하나인 '가능총소득(PGI)'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가능총소득은 부동산 투자의 수익성을 평가하고 예측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지표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능총소득(PGI)이란? 가능총소득은 PGI의 약자로 Potential Gross Income입니다. Potential은 잠재적인, Gross는 총, 합계, Income은 수익을 의미해서 잠재적인 총소득을 의미합니다. 이는 부동산 투자로 얻을 수 있는 임대 수익의 예측치를 의미합니다. 조금 더 자세히 보자면 대상 부동산을 임대를 내놓았을 때, 공실 없이 모두 입주되었을 경우 얻을 수 있는 1년 .. 2023. 6. 21. 부동산 환원율: 투자 수익을 평가하는 핵심 지표 부동산 투자는 많은 사람들에게 수익을 창출하는 매력적인 옵션입니다. 그러나 부동산 시장에서 투자하려는 사람들은 투자의 수익성을 정확히 평가하고자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가 '부동산 환원율'입니다. 부동산 환원율은 투자한 자본액 대비 투자 수익을 계산하여 투자 성과를 평가하는 도구로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동산 환원율의 개념과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동산 환원율이란? 부동산 환원율은 투자한 부동산에 대한 수익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부동산 환원율은 연간 순소득(연간 임대료나 임대수익)을 투자한 자본액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는 해당 부동산 투자의 수익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환원율이 높을수록 투자 수익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2023. 6. 19. 부동산 감정가액에 사용되는 산출 방법 - 거래사례비교법 부동산 감정평가는 잠재적인 구매자나 판매자에게 공정한 시장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입니다. 우리는 감정평가사가 아니지만 이들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죠. 이제 부동산 감정평가에서 사용되는 거래 사례 비교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거래 사례 비교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따라 그 가치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거래 사례 비교 방법 1. 특성 물건 선택: 비교할 거래 사례의 특성을 선택합니다. 크기, 위치, 시설, 상태, 건축 연도 등의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2. 거래 사례 수집: 비슷한 특성을 가진 거래 사례를 수집합니다. 부동산 중개업체, 인터넷 부동산 플랫폼, 지역 신문 등을 통해 거래 사례를 찾을 수 있습니다. 3. 거래 사례 분석: 수집한 거래 사례를 분석합니다. 각 거래 사례의 가격, 특성.. 2023. 6. 18. 부동산 수입을 통한 현금흐름 분석 방법 - 수익금 산출방법 안녕하세요, 부동산 투자에 관심 있는 여러분들! 오늘은 부동산 수입을 통한 현금흐름 분석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금흐름 분석은 부동산 투자의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로, 투자의 수익성과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제 예시와 함께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A 씨는 상가를 구매하여 임대 수입을 얻고자 합니다. 상가 구매 비용은 10억 원이고, 월 임대료는 500만 원입니다. A 씨는 다음과 같이 현금흐름을 분석합니다. 1. 초기 투자 비용: 구매 비용 10억 원 (계약금 2억 원, 대출금 8억원) 2. 연간 임대 수익: 월 임대료 500만 원 → 연간 임대 수익 500만 원 x 12개월 = 6000만 원 3. 운영 비용: 관리비 30만 원, 수리비 20만 원, .. 2023. 6. 17. 부동산 투자의 가치평가 방법과 성공 사례 부동산 투자는 재무적인 관점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부동산 투자의 가치평가 방법과 성공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부동산 투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미래에 성공적인 투자를 할 수 있는 공부를 함께 해보도록 해요! 1. 현금 흐름 분석을 통한 가치평가 부동산 투자의 가치평가에는 현금 흐름 분석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는 투자로부터 예상되는 현금 흐름을 평가하고 할인율을 적용하여 현재 가치를 계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현금 흐름 분석은 임대 수입, 운영 비용, 유지 보수 비용 등을 고려하여 투자의 수익성을 분석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현금 흐름에 필요한 공식과 단어들도 알아볼까요? 현금흐름을 구할 땐 아래 공식을 이용해요. "임대 수입 - 운영 비용 - 대출 상환금" 임대수입은 임대계.. 2023. 6. 16. 부동산 투자의 성공을 위한 10가지 전략 - 2 안녕하세요! 이번 주제는 저번 편에 이어서 10가지 부동산 투자 전략 2탄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6. 다양한 방법의 다중 투자 방법 이 전략은 부동산 투자를 다양한 방법으로 통해 다중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입니다. 다중 투자 방법은 예를 들어 주택 부동산의 임대 수익 외에도 토지 개발, 상가 임대수익, 주택 리모델링 후 재판매, 신탁회사를 통한 투자 등 다양한 수익원을 확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나대지 토지 개발 사업을 통하여 수익을 창출한 후 완공된 건물에서 임대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상업용 부동산을 투자하여 상점 임대 수익을 얻고, 허름한 주택을 구매하여 리모델링한 후 재판매하여 추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투자 방법을 활용하여 다중으로 현금 흐름을 확.. 2023. 6. 15. 부동산 투자의 성공을 위한 10가지 전략 - 1 안녕하세요! 이번 주제는 10가지 부동산 투자 전략을 통해 경제적 자유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방법을 공유해 보도록 할게요. 1. 수익을 극대화하는 '7년 주기' 투자 전략 이 전략은 부동산 시장의 주기성을 이용하여 7년 주기로 투자하여 수익을 극대화하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7년 주기로 부동산 시장이 상승과 하락을 반복합니다. 따라서, 부동산을 구매한 후 7년 후에 판매하여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부동산 시장 동향과 수요 예측, 인프라 개발 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투자 지역과 타이밍을 선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 지역의 부동산 시장이 최근 몇 년 동안 상승세를 보였고, 주변에 대규모 개발 사업이 예정되어 있는 경우를 고려해 보겠습니다.. 이때.. 2023. 6. 15. 이전 1 ··· 5 6 7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