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외

석회암부터 레미콘까지, 콘크리트의 뿌리를 추적하다 (1탄)

by 시크릿부디 2025. 4. 9.
반응형

콘크리트는 현대 건설에서 빠질 수 없는 재료입니다.

하지만 ‘시멘트는 뭐고, 콘크리트는 또 뭐지?’라는 질문부터, 왜 꼭 석회암을 써야 하는지, 레미콘은 왜 이렇게 비싼지까지 궁금한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이번 글에서는 콘크리트의 핵심 재료인 석회암부터 레미콘의 탄생과 현재 가격까지 전반적인 배경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콘크리트의 재료와 역사, 가격까지 한눈에


1. 석회암이란?

석회암(石灰岩, Limestone)은 주로 탄산칼슘(CaCO₃)으로 구성된 퇴적암입니다. 한국에서는 조선 누층군에서 주로 산출되며, 이는 캄브리아기(약 5억 4000만~4억8830만년)부터 오르도비스기(약 4억8800만~4억4370만년)까지 퇴적된 지층입니다. (약 5억4000만 ~ 4억4370만년 사이에 퇴적)

석회암은 대부분 방해석(Calcite, 탄산염 광물의 일종을 말함)이라는 광물로 되어 있어 염산과 반응하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킵니다. 석회암은 물에 잘 녹지 않으며, 생물의 껍데기나 유해로부터 생성된 유기적 석회암, 그리고 화학 침전으로 만들어지는 화학적 석회암으로 나뉩니다.

이 석회암을 고온에서 소성해 만든 것이 바로 시멘트의 주원료입니다.


반응형

2. 시멘트와 포틀랜드 시멘트

시멘트는 석회석과 점토, 그리고 산화철, 무수황산 등을 혼합하여 1,450℃ 전후의 고온에서 소성한 후 분말로 만든 재료입니다. 여기에서 수화 반응이 일어나면서 경화하게 됩니다.

특히 우리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로, 1824년 영국 조지프 아습딘이 특허를 낸 이후 전 세계적으로 쓰이게 되었습니다. 이름은 시멘트 색상이 포틀랜드 섬의 석재와 닮았기 때문에 붙여졌습니다.

 

📌 포틀랜드 시멘트의 평균 화학 성분

  • CaO(산화칼슘) : 60~67%
  • SiO₂(실리카) : 17~25%
  • Al₂O₃(산화알루미늄) : 3~8%
  • Fe₂O₃(산화철) : 0.5~6%

→ 산화칼슘과 실리카가 주를 이룸.

 

압축강도는 기술 발전에 따라 꾸준히 향상되었으며,

  • 1840년대: 5 MPa
  • 1880년대: 10~20 MPa
  • 1950년대 이후: 35~65 MPa로 발전했습니다.

3. 화강암으로 시멘트를 만들 수 있을까?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비효율적’입니다.
왜 그런지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성분 불균형

  • 화강암은 실리카(SiO₂)가 65~75%로 지나치게 많고, 시멘트의 핵심 성분인 CaO(산화칼슘)는 거의 없습니다.
  • 즉, 시멘트를 만들어도 강도와 반응성이 현저히 떨어집니다.

② 반응성 문제

  • 화강암은 결정질 광물로 구성되어 있어 수화 반응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③ 제조 비용 문제

  • 화강암은 매우 단단하여 분쇄가 어렵고,
    소성에는 1,600℃ 이상의 고온이 필요해 에너지 비용이 급증합니다.

따라서 오늘날 시멘트 원료로는 석회암이 거의 유일한 선택지입니다.


반응형

4. 레미콘이란?

레미콘(RMC, Ready-Mixed Concrete)은 공장에서 시멘트, 물, 모래, 자갈을 미리 배합하여 믹서트럭으로 현장에 운반되는 콘크리트입니다.

 

기존 현장 배합과 비교해 장점이 많습니다.

  • 정량 배합 → 품질 균일
  • 시간 절약
  • 기계화로 인한 오류 감소

📌 레미콘의 역사 요약

  • 1903년: 독일 J.H. 마겐스, 최초의 레미콘 특허
  • 1913년: 미국 메릴랜드주, 최초 레미콘 공장
  • 1965년 7월: 대한민국 첫 레미콘 공장인 서빙고 설립 (대한양회)

5. 현재 레미콘 가격과 공급 현황

2023년 기준, 레미콘 1㎥당 가격은 약 93,700원(수도권 기준)입니다.

 

📌 예시
중형 건물 바닥에 콘크리트 30㎥가 필요하다면
→ 93,700원 × 30㎥ = 2,811,000원이 소요됩니다.

 

콘크리트 1㎥ 기준 시멘트 사용량

  • 1㎥당 약 320kg (40kg × 8포) 사용
  • 시멘트는 포당 가격: 13,000원 ~ 26,000원

📌 2023년 기준 레미콘 산업 현황

  • 업체 수: 995개
  • 공장 수: 1,079개
  • 믹서트럭 보유대수: 21,713대
  • 시멘트 사일로 총량: 1,056,023톤
구분 2010년 말 2023년 말
업체 수 106 개 995 개
공장 수 182 개 1,079 개
믹서트럭 보유대수 8,117 대 21,713 대
생산능력 72,130 ㎥/hr 316,800 ㎥/hr
시멘트 사일로(저장창고) 총량 232,040 톤 1,056,023 톤

용어 정리

  • 석회암: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퇴적암
  • 시멘트: 석회석을 주성분으로 한 고온소성 가루
  • 포틀랜드 시멘트: 가장 일반적인 시멘트 유형
  • 레미콘: 공장에서 미리 배합된 콘크리트
  • 수화 반응: 시멘트와 물이 만나 굳어지는 화학 반응
  • CaO: 시멘트의 핵심 성분, 산화칼슘

콘크리트의 재료와 구조, 그리고 그 기반이 되는 석회암과 시멘트의 이야기까지. 알고 보면 우리가 밟고 다니는 이 회색 바닥도 과학과 역사의 산물입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2025.04.09 - [분류 전체보기] - 콘크리트, 강하지만 완벽하지 않다 – 시공 시 꼭 알아야 할 성능과 단점 (2탄)

 

콘크리트, 강하지만 완벽하지 않다 – 시공 시 꼭 알아야 할 성능과 단점 (2탄)

콘크리트는 건축 자재 중에서도 가장 많이 쓰이지만, ‘완벽한 재료’는 아닙니다.강도는 높지만 균열이 생기기 쉽고, 내구성도 시공 방식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이번 글에서는 콘크리트의

devsecretgarden.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