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외

소송의 모든 것 1탄 – 3심제도와 사법부의 구조 완전 정복

by 시크릿부디 2025. 3. 28.
반응형

민사, 형사, 행정… 다양한 사건을 다루는 법원의 세계는 생각보다 복잡합니다.

하지만 막상 소송을 하게 되면 반드시 알아야 할 제도와 구조들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소송과 3심제도, 그리고 사법부의 구조를 알기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소송제도와 사법부 구조 한눈에 정리


1. 소송이란 무엇인가요?

소송은 사회에서 발생하는 이해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재판 절차입니다. 이해관계가 상반된 사람들이 당사자가 되어 법원의 재판을 통해 그 다툼을 해결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소송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민사소송: 개인 간 금전, 권리 등 사적 분쟁
  • 형사소송: 범죄 여부를 다투는 소송
  • 행정소송: 행정청의 처분에 대한 분쟁

2. 3심제도란?

우리나라 재판은 한 번만 받는 것이 아니라 최대 세 번까지 받을 수 있는 제도, 즉 3심제도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구분 재판 단계 관할 법원
1심 최초 재판 지방법원 또는 지원
2심 항소심 지방법원 합의부 또는 고등법원
3심 상고심 대법원
  • 항소: 1심 판결에 불복해 2심 법원에 다시 판단을 요청하는 것
  • 상고: 2심 판결에 불복해 대법원에 최종 판단을 요청하는 것

예를 들어, 임대차보증금을 돌려받기 위해 소송을 제기했으나 1심에서 패소했다면, 판결문을 받은 날로부터 14일 이내 항소할 수 있으며, 2심에서도 패소했다면 다시 상고할 수 있습니다.

※ 모든 사건이 3심까지 가는 것은 아니며, 2심, 단심으로 끝나는 사건도 있습니다.


반응형

3. 심급제도의 구체적 유형

아래는 각 사건 유형별로 적용되는 심급제도입니다.

심급제도 적용 사건 예시
3심제 민사재판, 형사재판, 행정재판, 가사재판, 군사재판
2심제 특허재판, 지방의회 의원 및 시·군·구 의장 선거소송
단심제 대통령·국회의원·시도지사 선거소송 (선거소송 단 한 번의 판결로 종료)

단심제의 경우, 사건은 바로 대법원에서 단 1회의 재판으로 종결됩니다. 예를 들어, 국회의원 선거 무효 소송은 대법원이 1심 겸 최종심을 담당합니다.


4. 사법부의 구조 한눈에 보기

사법부는 입법부(국회), 행정부(정부)와 함께 대한민국 헌법상 3권분립 체계의 한 축입니다.

사법부의 조직도

  • 최고 법원: 대법원
  • 각급 법원: 고등법원, 지방법원, 가정법원, 행정법원, 특허법원 등
  • 지원: 지방법원과 가정법원의 하부 기관
  • 시·군법원: 지역 주민의 편의를 위한 제1심 재판소 (전국 99곳)

대법원의 구성

  • 대법원장 1명 + 대법관 13명
  • 통상 4명으로 소부(小部)를 구성해 판결하며, 의견이 갈리거나 사회적으로 큰 사건은 전원합의체에서 심리

대법원장과 대법관 임명

  • 대법원장: 대통령이 국회의 동의를 받아 임명 (헌법 제104조 ①항)
  • 대법관: 대법원장이 제청하고, 대통령이 국회의 동의를 얻어 임명 (헌법 제104조 ②항)

법관의 임기와 정년

직위 임기 정년
대법원장 6년, 중임 불가 70세
대법관 6년, 연임 가능 70세
일반 판사 10년, 연임 가능 65세

반응형

5. 법관의 독립성과 사법권의 보호

헌법 제103조는 다음과 같이 규정합니다.

“법관은 헌법과 법률에 의하여 그 양심에 따라 독립하여 심판한다.”

 

이는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핵심 가치입니다.

사법권이 독립되어야 정치권력, 경제권력 등 외부 영향으로부터 자유롭게 공정한 재판을 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 부당한 외압에 휘둘리지 않고, 오직 법과 양심에 따라 판단할 수 있어야 합니다.


용어 정리

  • 심급제도: 하급법원의 판결에 불복하여 상급법원에 다시 재판을 받을 수 있는 제도
  • 항소: 1심 판결에 불복하여 제2심에 상소하는 것
  • 상고: 2심 판결에 불복하여 대법원에 최종 판단을 요청하는 것
  • 단심제: 1회 재판으로 끝나는 심급제도
  • 사법권: 법을 해석하고 적용할 수 있는 권한
  • 대법관 회의: 대법원장과 13명의 대법관 전원이 참여해 판사 임명, 규칙 제정 등을 결정하는 회의

다음 글에서는 민사소송의 절차와 실제 진행 방식, 그리고 소송 비용과 준비사항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2025.03.23 - [그외] - 소송의 모든 것 2탄 – 민사소송 절차, 소장 작성부터 판결까지

 

소송의 모든 것 2탄 – 민사소송 절차, 소장 작성부터 판결까지

소송을 처음 겪는 분들이 가장 많이 궁금해하는 것이 바로 ‘민사소송의 절차’입니다.생각보다 복잡하고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구조만 이해하면 흐름이 눈에 들어옵니다.이번 글에서는 소장

devsecretgarden.tistory.com

 

반응형